반응형
지난 시간에 새로 커밋할 파일들에 대해
git add 파일명
과 같은 명령어를 작성해주었는데
이렇게 되면 해당 파일은 commit이 될 준비를 마친 상태가 된 것이다.
그리고 이 상태에서
git commit
이라는 명령어를 작성하게 되면 commit이 준비가 된 상태들의 파일을 커밋해주게 된다.
이 때 커밋이 될 준비가 된 상태를 가리키는 말이 stage area이다.
예를 들어서
git add f1.txt
라고 입력하면 f1.txt 파일은 stage에 올라가게 된 것이다.
그리고
git commit
을 하게 되면 stage 에 올라가 있던 f1.txt 파일이 버전이 되는 것이다.
git에는 stage와 repository 라는 개념이 존재하는데
stage : 커밋 대기를 하고 있는 파일들이 가는 곳
repository : 커밋이 된 결과를 저장하는 곳
이처럼 설명된다고 한다.
(*위 내용은 생활코딩 님의 '지옥에서 온 Git' 강의를 참고하였습니다.)
반응형
'Computer Science > Gi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Git Bash] Git Bash로 commit하고 push하기 (0) | 2020.05.25 |
---|---|
5. Git reset, revert (간단히 알아봅시다) (0) | 2019.12.31 |
4. Git 변경사항 확인하기 (0) | 2019.12.29 |
2. Git 버전 만들기(commit) (0) | 2019.12.25 |
1. Git init , Git add (0) | 2019.12.23 |